SQL (🡨 SEQUEL) (🡨 Structured Query Language)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 정의, 조작, 제어를 위해 사용하는 언어
- 표준 SQL: ISO의 표준 규격을 따르는 SQL
- SQL 기본 작성 규칙
- 문장 마지막은 세미콜론(;)으로 끝남
- 명령어, 객체명, 변수명은 대/소문자 구분이 없음
- 데이터 값은 대/소문자를 구분함
- 날짜와 문자열에는 작은 따옴표를 사용
- 단어와 단어 사이는 공백 또는 줄바꿈으로 구분
- 주석문
-- 이것은 주석입니다
/* 여기부터
여기까지 주석입니다 */
SELECT
- 테이블에 존재하는 레코드의 값을 조회
- SELECT [ALL/DISTINCT] 칼럼1, 칼럼2, ... FROM 테이블명
- ALL: 중복 데이터 모두 출력
- DISTINCT: 중복 데이터를 1건으로 출력
- DISTINCT 키워드는 첫 칼럼의 앞에 위치해야 함
- 칼럼의 조합에 대해 중복 체크
- NULL 값도 하나의 값으로 간주함
SELECT PLAYER_ID, PLAYER_NAME, TEAM_ID,
POSITION
FROM PLAYER;
SELECT POSITION
FROM PLAYER;
SELECT DISTINCT
POSITION
FROM PLAYER;
- SELECT * FROM 테이블명;
해당 테이블의 모든 칼럼값 조회
- 조회 결과에 일종의 별칭(ALIAS)을 부여하여 칼럼 레이블을 변경함
- 칼럼병과 별칭 사이에 AS키워드를 사용
- 별칭이 공백, 특수문자 등을 포함하는 경우 큰 따옴표 사용
ORDER BY
- 출력시 정렬 기준 설정
- SQK문장의 맨 마지막의 위치
- 오름차순: ASC(생략 가능), 내림차순: DESC
참고) ORACLE에서 NULL은 가장 큰 값으로 취금됨
- 예) 선수명과 키를 키 오름차순으로 출력
WHERE 절
-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를 한정하기 위해 사용
- SELECT ~FROM ~WHERE ~형태로 사용함
WHERE 연산자
우선순위
산술연산자
- NYMBER와 DATE 자료형에 대해 적용
- * / + -
비교연산자
- =, <>, >=, >, <=, <
- 모든 자료형 대해 적용
- 문자열의 크기 비교는 사전 순으로 수행됨
- 예: '01' < '02' < '1' < '11' < '2'
- NULL에는 비교 연산자 사용 불가
논리연산자
- 모든 자료형에 대해 적용
- NOT, AND, OR(우선순위: NOT > AND > OR)
1. 포지션이 골키퍼가 아니면서 키가 180보다 크다
2. 포지션이 골키퍼가 아니거 키가 180보다 크면 된다
3. NOT(포지션='골키퍼')AND->OR로 바뀜 NOT(키>180)
- 합성(연결) 연산자 - 문자여로가 문자열을 연결함
방법1: CONCAT(str1, str2)
방법2: str1 || str2
BETWEEN, NOT BETWEEN
IN, NOT IN
LIKE
'५✍ > SQ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D] 2-2 노랭이 오답노트 (0) | 2023.09.05 |
---|---|
[SQLD] 서브쿼리 (0) | 2023.09.05 |
[SQLD] JOIN (0) | 2023.09.02 |
[SQLD] 1과목 - 데이터 모델 성능 (0) | 2023.08.29 |
[SQLD] 1과목 - 데이터 모델링 이해 (0) | 2023.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