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 프로그램
VirtualBox -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 www.virtualbox.org → 배포하는 파일이 아닌 항상 최신 버전의 파일을 받을 수 있는 방법 → 1) Download VirtualBox 클릭 2) 각 운영체제에 맞는 파일을 받는다. (Windows | OS X | Linux) 3) 최신 버전을 받음.
[Orcavle VM VirtualBox관리자]
파일탭 - 환경설정 - 입력 - 가상머신 - 호스트 키 조합Right Ctrl - > Shift+ctrl 변경
가상머신(VM) 저장될 위치 변경: 파일탭 - 환경구성 - 일반 - 기본머신 - 폴더 v 클릭 - 기타 - 미리 만들어 둔 D:\VirtualBox VMs 폴더 선택 - 확인
[가상 머신 생성]
새로 만들기 클릭 - 가상 머신 만들기 창 열림 - 아래쪽 버튼에 '전문가 모드' 클릭 - 이름: WebServer / 종류: Linux / 버전: Red Hat(64bit)
Hardware - 기본메모리: 2048MB / Processors: 초록색 끝까지 변경
설정이 되었다면 Finish. 클릭
왼쪽 머신리스트에서 WebSever 클릭 - 오른쪽 설정 버튼 클릭
시스템
마더보드
포인팅 장치: PS/2 마우스 - USB아무거나 클릭
Extended Features: Enable hardware clock in UTC time 체크 해제 -> KST 동작(한국시간 기준)
저장소
컨트롤러: IDE 비어있음 클릭 - 오른쪽 창의 CD 모양 아이콘 클릭 - 학원에서 받은 파일 선택
컨트롤러: SATA 클릭 - 오른쪽 속성 창 - 호스트 I/O캐시 사용하기 체크!
네트워크
다음에 연결됨: NAT -> 어댑터에 브리지로 변경 후 확인
[CentOS ISO 파일]
The CentOS Project
DevConf.US Dojo Jun 10, 2022 — CentOS is hosting an in-person Dojo at DevConf.US. The Dojo will take place at Boston University on August 17, the day before the main DevConf talks. The CFP and registration are open. The Dojo is free as always, but regist
www.centos.org
- 상단탭 다운로드 클릭 - x86_64 선택 - 미러사이트 선택 - 원하는 파일을 다운로드
[실행하기]
- WebServer 더블 클릭 또는 -> 클릭 - 옵션의 저장소에서 설치 파일을 설정해 두면 설치 화면이 보임
- 방향키 ↑눌러서 install centOS7 선택
검색창
KO ->한국어 선택 계속 진행
소프트웨어 선택 클릭 - GNOME 데스크탑 선택 - 완료
시스템
설치대상 클릭 - 완료
네트워크 및 호스트명
설정 - 일반 - 사용 가능하면 자동으로 이 네트워크에 연결 체크 - IPv4 설정
방식: 수동
주소: Add 클릭
- 주소 : 192.168.7.141(배정된 주소)
- 넷마스크: 24
- 게이트웨이: 192.168.7.254
- DNS 서버: 203.248.252.2, 164.124.101.2
저장 - 완료
'설치 시작' 버튼 클릭
ROOT 암호 클릭
-> ROOT 암호: 1 - > 완료 두 번 클릭
설치 완료되면 '재부팅' 클릭
.
.
라이센스 정보 - 동의 - 완료
다음(한국어) - 다음 - 위치 정보 서비스 끔 - 다음 - 다음 - 건너뛰기 - 전체이름: itwill - 암호 tlqkf1818 입력시 '다음' 버튼 활성화 - CentOS 시작
오른쪽 상단 위 버튼 클릭 - 전원 끄기
[스냅샷 생성]
왼쪽 가상머신 리스트 - 웹서버 선택 - 오른쪽 창의 찍기 클릭 - 스냅샷 이름: 초기화
[가상머신 내보내기]
- 사용하는 가상머신을 내보내기를 통해서 다른 환경의 컴퓨터에 설치가 가능
- 버츄얼박스 관리자 - 도구 - 내보내기 - 원하는 가상머신 선택 - 파일 위치 선택 - MAC 주소 정책: 모든 네트워크 어댑터 MAC 주소 제외 선택
[가상머신 가져오기]
- 가상머신명.ova 파일을 선택하면 내보내기 된 가상머신을 사용할 수 있음
- MAC 주소 정책: 모든 네트워크 어댑터 MAC 주소 생성
[간단한 웹서버 설치 및 활용]
1. 머신을 시작
2. 목록에 없습니까? 클릭
사용자 이름: root, 암호: 1 로그인 (root: 리눅스의 관리자 계정)
administrator: 윈도우의 관리자 계정
3. root 접속이 처음이라면 초기설정 화면이 뜸
다음 - 다음 - 개인정보 끔, 다음 - 건너뛰기 - CentOS 리눅스 시작
4. 해상도 변경
우측 상단 3개의 아이콘이 같이 눌러지는 버튼이 있음
공구모양 버튼 클릭
왼쪽 메뉴 중 장치 - 1280*768
5.. 리눅스를 운영하기 위해 리눅스와 소통을 해야 함 - 터미널 - 바탕화면 우클릭 - 터미널 열기
6.. 터미널 설정
편집 - 기본설정 - 사용자지정글꼴체크 오른쪽 버튼 눌러서 글꼴과 크기 변경 후 닫기
7. 리눅스 최신 버전 만들기
터미널 - > yum update - y
8. 설정 - 전원 - 빈화면 - 안함 변경
-> 입력이 없을 시 기본값 5분이 지나면 자동 로그아웃이 되지 않도록함
9. 만약 itwill 사용자 계정의 비밀번호를 변경하고자 한다면 터미널 - passwd itwill 엔터 - 새 암호 : 1
ㄴ 보안때문에 몇글자를 치는지 나오지 않음!
10. [한글 설정]
설정 - 지역 및 언어 - +버튼 클릭 - 한국어 선택 - 한글(hangul) 추가
기존에 있던 '한국어' - 버튼을 눌러서 삭제!
영어(미국) 선택 후 클릭 추가
한영 변환키 윈도우+스페이스바
--------------------------------------------------------------------
스냅샷(온라인/오프라인)
동작 중일 때 스냅샷 만들면 '온라인 스냅샷'
머신이 종료되어 있을 때 스냅샷 만들면 '오프라인 스냅샷'
머신 - 스냅샷 찍기 - 이름: 초기설정 완료
버츄얼 박스 게스트 에디션 설치
1. 터미널 실행
2. yum -y install gcc perl make kernel-devel
3. 장치탭 - 게스트 확장 CD 이미지 삽입... - 팝업창이 뜨면 실행 클릭(취소 시 바탕화면에 CD모양 아이콘 더블클릭 - 오른쪽 상단 '프로그램 실행' 선택!)
4. Press Return to close this window... 메세지가 보이면 엔터키(또는 아무키) 입력
5. 터미널 - reboot(재시작)
'⛏️ > LINUX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vi 편집기 (0) | 2023.08.31 |
---|---|
[Linux] OwnCloud 서비스 (0) | 2023.08.31 |
[Linux] 워드프레스 만들기 (2) | 2023.08.24 |
[Linux] 웹 서버 구축 및 IP (0) | 2023.08.03 |
[Linux] 리눅스의 개요 (0) | 2023.07.27 |